우리가 머무는 백패커에 온 한국 청년.
첫째 날 도착해서 우리가 만났고, 둘째 날 “통가리로 크로싱”을 갔다가 떠난 줄 알았었는데..
늦은 저녁에 다시 돌아왔죠.
그리고 셋째 날 청년이 저에게 물었습니다.
“수제비”를 먹겠냐고?
수제비는 우리가 길 위에 사는 동안 한두 번 정도 해 먹었습니다.
야채 국물에 밀가루 반죽을 떼어 넣은 수제비를 남편은 안 먹을뿐더러,
할 때마다 잔소리를 했었습니다.
“맛도 없는 음식을 한다고!^^;”
사실 개뿔도 들어간 것 없고, 김치도 없는 수제비가 썩 훌륭한 한 끼는 아닙니다만,
비가 오는 날은 “따끈하니 먹기 좋은 음식”이죠.
이날 하루 종일 흐리고 비가 온지라, 떠날 예정이었던 여행자들이 다 백패커에 주저앉았습니다.
그래서 한국 청년도 하루를 더 보내게 된 것이었고 말이죠.
비도 오는지라 “수제비”를 절대 사양할 수가 없었습니다.
그래서 넙죽 받았죠.
청년이 넉넉하게 했다고 나에게 준 수제비와 양배추 겉절이.
음식은 남이 해준 것이 제일 맛있죠.
날씨도 으스스한지라 따끈한 수제비에 양배추 겉절이는 딱 좋은 한 끼였습니다.
마눌은 맛있게 얻어먹은 수제비인데, 남편은 옆에서 입을 대빨 내밀고는 궁시렁 거렸습니다.
“왜 남의 것을 뺏어 먹어?”
“넉넉하게 해서 나눠주는 건데 뺏어 먹었다고 하면 안 되지.
그리고 나도 넉넉하게 내 것을 나눠먹으면 되는 거야.“
“당신 것이 어디 있어?”
“뭐시라?”
사실 우리가 길 위에 살 때 외식을 제외한 모든 지출은 남편이 했습니다.
마눌이 말하는 “내가 한 내 음식”이 사실은 “남편 돈이니 남편 음식” 인거죠.
남편이 심술이 난지라 마눌의 “내꺼”에 딴지를 걸었습니다.
“자기꺼”라고 말이죠.^^;
원래 남한테 잘 퍼주고, 잘 얻어먹는 마눌인 것을 아는 남편이 “수제비”에는 짜증에 신경질까지 내면서 마눌의 말꼬리 까지 잡아댑니다. 마눌이 맛있게 한 끼 먹으면 그만인 것을!
마눌은 간만에 남이 해 준 한 끼를 아주 맛있게 먹었습니다.
그리고 나중에 남편이 짜증내는 원인도 찾았습니다.
마눌이 배가 고파야 부부가 먹을 끼니를 요리 할 텐데..
마눌이 수제비를 먹고 배가 부르면 남편은 아무것도 못 얻어먹는 거죠.
마눌에게 대놓고 “당신은 수제비 먹고 나는 딴 거 해 달라.”고 하면 되는 것을..
자기 음식 안 해 줄까봐 미리 겁먹고 짜증을 낸 속 좁은 남편입니다.^^;
남편의 구박에도 꿋꿋하게 수제비로 이른 저녁으로 먹는 마눌은 남편과 수제비를 나눠준 청년을 위해서 치즈가 듬뿍 들어간 “치즈(토마토)토스트“를 구워서 두 남자의 저녁으로 내놨습니다.
심통을 있는 대로 부렸던 남편은 마눌이 갖다 바친 치즈토스트로 배를 채운 다음에야 “행복“해졌고, 마눌도 간만에 한국음식, 수제비를 먹어서 행복한 저녁 한 끼였습니다.^^
다녀가신 흔적은 아래의 하트모양의 공감(♡)을 눌러서 남겨주우~
로그인하지 않으셔도 공감은 가능합니다.^^
감사합니다.^^
'뉴질랜드 > 길위의 생활기 2014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뉴질랜드 길 위의 생활기 965-우리가 팔아치운 오스트리아 보트 (0) | 2018.03.25 |
---|---|
뉴질랜드 길 위의 생활기 964- 투랑기에 있다는 토요시장, farmers market 파머스 마켓, (4) | 2018.03.24 |
뉴질랜드 길 위의 생활기 963-통가리로 리버 트레일에서 하는 플라이낚시 (1) | 2018.03.23 |
뉴질랜드 길 위의 생활기 962-떠나오기 전에 내가 끝낸 책 한권, auf den ersten Blick (2) | 2018.03.22 |
뉴질랜드 길 위의 생활기 961-백패커 주인과 하는 한바탕 기싸움 (2) | 2018.03.21 |
뉴질랜드 길 위의 생활기 959-백패커에서 만난 한국인 물리치료사 (4) | 2018.03.19 |
뉴질랜드 길 위의 생활기 958-남편이 행복했던 생일날 하루 (0) | 2018.03.18 |
뉴질랜드 길 위의 생활기 957-백패커에서 구운 남편 생일케이크, 바나나케이크 (0) | 2018.03.17 |
뉴질랜드 길 위의 생활기 956- 신문에 난 밀포드 트랙 일본인 가이드 (0) | 2018.03.16 |
뉴질랜드 길 위의 생활기 955-백패커의 냉장고에서 사라진 우리의 달걀과 치즈 (2) | 2018.03.15 |
댓글6